FAQ
- 01
1. 일반 사항
본 시방서는 조형 조명을 설치함에 있어서 제작. 설치방법. 사후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절차를 규정한다.
2. 자재
조형벤치의 자재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 석재 .렉산. 유리 기타 자재를 사용한다.
3. 제조 및 가공
재료의 절단면 표면이 깨끗하게 슬리팅 되어야 한다.
금속 재료는 정밀 모형절단하며 절곡, 적단, 밴딩하여 제작
하여야한다.
부품별 결합부는 정밀 가공하여 조립, 전후 변형이 없어야 한다.
용접이 필요한 부분은 견고하게 용접하여 연마하여야 한다.
스텐, 금속 용접시에는 알곤용접으로 처리 하여야 한다.
스틸 금속 작업시에는 CO2 또는 전기, 알곤용접으로 자재의 두께 성질, 상황에 따라 용접을 하여야 한다.
파이프 및 금속판을 레이져 가공후 자재를 용접 제작하고 안전을 위하여 연마작업을 철저히 하여야 하고 날카로운 면이 없도록 연마해야 한다.
4. 도색 작업
금속자재를 사용시에는 표면에 프라이머 작업을 한 후 함마톤.또는 우레탄. 분체. 액체 기타 도색을 하여야 한다.
표면을 엠보씽(함마톤) 처리을 하여야 하고 2차로 필요한 칼라로 도색 하여야 하며 분체 또는 액체로 도색하여야 하며 감전,
퇴색, 백화 방지를 위한 절연성 투명코팅을 하여야한다.
작품에 따라 도색을 유광. 무광 선택하여 마감 처리 한다.
목재를 사용시에는 방부목을 원칙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고 표면에 투명으로 마감 처리 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을 제품에 일부 부속품으로 사용시에는 제품 원자재 칼라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작품의 디자인에 따라 필요한 칼라로 도색한다.
5. 조명 부분
스텐레스 금속으로 사용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지정색 도색 또는 광택처리를 할 수 있다.
스틸 사용시에는 지정색 도색을 필히 하여 하며 전처리 프라이머를 필히 하고 분체, 함마톤 도색을 하여야 한다.
반사경을 사용할 경우에는 스텐레스, A.B.S수지, 크롬도금 반사경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칼라 도색을 할 수도 있다.
조명기구의 램프는 승인도면에 명기도니 램프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안정기는 향후 빠른 유지보수를 위하여 국산 제품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램프 기타 부품과의 상호 작용에 문제가 없는 제품을 사용 하여야 한다.
6. 조형 부분
제품제작은 상세사항을 명시한 제작 승인 도면에 의하여 제작 하여야 한다.
조형 공원등은 주간에는 조형물로 주변 경간을 미려하게 하고 야간에는 주변 조명등으로 사용하게 제작 한다.
디자인에 따라 벤치, 포토존, 음수기, 핸드폰충전기능, 안내판, 방향표시 해충포집기를 추가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7. 포토존 부분
디자인에 따라 사진촬영 할 수 있도록 작품의 크기가 사용자가 사용시 편리한 높이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포토존 기능을 디자인에 따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벤치기능 겸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작품 및 주변한경에 조합되어 크기가 적절하여야 한다.
8. 기타 자재
렉산 폴리카보네이트 사용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투명 또는 지정칼라를 사용하여야 한다.
유리. 아크릴 자재 사용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칼라. 애칭. 등을 할 수도 있다.
기타 자재 사용시에는 디자인 및 자재의 특성에 맞게 제작 하여야 한다.
9. 베이스
설치를 위한 베이스는 400-500m/m 이상 콘크리트로 두께로 시공 하여야 하며 내부에 L형 앙카세트를 넣어서 시공한다. 시공한다.
앙카 볼트는 17-22m/m 제품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제품의 크기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바닥 베이스 작업을하여야 하며 이때 필히와이어 메쉬를 넣어서 타설 하고 타설의 두께는300-400mm 이상 되어야 한다.
바닥 마감재는 디자인및 현장상황에 따라 다양한 자재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10. 전기 및 안전장치
조명 및 기타 시설은 제품 내부 바닥 중앙에 전선관을 필히 내장 하여야 한다.
침수를 대비하여 500m/m 높이에 점검구를 설치하고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접지, 기타 안전 장치를 하여야 한다.
제품에 따라 안정기를 내부에 설치 하여야 한다.
등주내에 안전기 및 기타 배선기구등을 부착 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 하여야 한다.
SENSOR 등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근접하면 ON되고 사용자가 떠나면 약 20초 이후에 OFF 되어야 한다.
물의 침투에 대한 보호각도는 60° 각도에서 내리는 비가 내부에 침투되지 않도록되어야 한다.
11. 기타
작품 내부에 필요한 부분을 보강하여 작품을 튼튼하게 제작 되어야 한다.
안전을 위하여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도록 다자인설계에 반영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작품의 A/S가 쉽게 제작 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12. 설치방법
모든 등기구는 전구의 교체등 유지관리가 쉽고 등기구 교체가 용이 하도록 제작 하여야 한다.
등기구는 자중의 3배 이상의 하중에 견딜수 있고 부착면에 진동. 충격에도 추락할 염려가 없어야 한다.
안전을 위하여 제품의 설치주변에 안전 요원 또는 안전라인을 확보 하고 시공 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한 경우에는 수평을 확인하여 시공 하여야 한다.
제품을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놓고 수평을 확인하여 제품에 앙카 구멍을 확인하고 드릴로 앙카구멍을 낸 후 앙카볼트를 필요한 수량만큼 시공하며 필요시 보호 지지대를 임시로 설치 할수 있다.
앙카볼트가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절단하고 캡너트로 마감 하여야 한다.
매립형 디자인 작품을 시공할 경우에는 작품을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놓고 좌.우 방향. 수평을 확인 후 매립 하여야 하며 매립 시 공한 후에는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갱생 될 때 까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잔디위에 시공시에는 터파기를 한후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립하고 되메우기를 하고 앙카구멍을 낸후 설치 한다.
제품 설치시에 안전을을 위하여 접지를 필히 연결 하여야 한다.
13. 시설물 관리 방법
사용 중에 의자 부분에 모래. 흙.이물질 등을 수시로 제거 하여 주어야합니다.
작품 표면은 중성세제 등을 이용하여 수시로 청소하고 마른 수건으로 닦아 주어야한다.
작품 청소를 주기적으로 자주 하여 먼지. 이물질 등을 제거 하여야한다.
14. 안전관리
조형 공원등 설치를 위하여 일반적인 안전 수칙을 적용한다.
설치 작업 전에 감독관의 안전교육 실시하여야한다.
설치 작업자의 안전보호 장구 착용상태 확인한다.
작업자는 화기.인화물질. 전기. 인명안전을 위한 조치를 한 후 작업을 하여야한다.
중장비 작업 중에는 특별히 주변 안전사고에 대비한 후 안전 수칙에 의거 작업을 하여야한다.
15. 스티커부착방지
스티카부착 방지을 위하여 표면을 엠보씽으로 분체 도장 하고 지정색을 도색 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절연성 투명코팅으로 마감 하여야 한다.
16. 제작자 자격
본 조형공원등 제작 납품자는 금속가공 전문업체로 디자인 연구소. 품질 ISO 9001. 환경 ISO 14001인증업체 INN0-BIZ 로 금속 제작시설. 도장시설을 보유한 전문조형 공원등 업체에서 제작 하여야 한다.
17. 하자보증기간
본제품의 하자보증기간은 1년으로 한다.
18. 운반
제작완료후 운반은 제품을 보호할수 있도록 포장하고 상차.운반. 하차시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19. 검사
시공이 끝난 후에는 현장 주변을 정리 정돈 하여야 하며 폐자재는 즉시 반출 하여야한다.
작품 설치 시 공사전. 공사중. 공사후 사진을 촬영하여 제출 하여야 한다.
본 공사기간은 착공일로부터 일로 한다.
- 02
- 03
송풍형 에어건 사용설명서 사용방법
1. 내부 차단기 입력단자에 (AC220V/60Hz) 전원을 연결한다.
2. 내부 에어건 전원 스위치 위치를 FULL 위치에 고정시킨다.
3. LOW/HIGH 스위치 위치를 OFF에 고정시킨다.
4. 스위치 종류에 따라 사용 법을 달리한다.
『 제품 이름 』
· ON/OFF 버튼 스위치 (사각형,원형)
설명 사용 시에는 전면에 있는 ON 스위치를 눌러서 사용한다.
사용 안 할 시에는 OFF 스위치를 눌러 작동을 멈춘다.
· 버튼 스위치
사용 시에는 전면에 있는 동작 버튼을 한번 눌러서 사용한다.
1분이 지나면 에어건 작동이 멈춘다.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전면에 동작 버튼을 다시 눌러서 1분씩 시간을 연장시킨다.
1. 전압: AC220V 소비전력 최대 2200W (온풍사용시)
2. 전원차단기 AC220V 15A (분전반 차단기 필수 설치 요망)
3. 내부 전선 2.5mm
4. 풍속 25m/s-50m/s
5. 온도 30℃(평균)-70℃(건조기 사용 시)
에어건이 작동되지 않을 시 확인사항
1. 전원 차단기가 올라가 있는지 확인한다.
2. 차단기 밑에 노란버튼을 눌러 차단기가 작동이 되는지 확인한다.
(전기가 정상적으로 들어오는 상태라면 눌렀을 때 차단기가 떨어집니다.)
3. 내부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를 완전히 밀착해서 꽂아준다.
4. 아래 사진처럼 FULL 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 04
- 05
1. 일반사항
본 시방서는 먼지털이기를 설계. 제작. 설치방법. 관리 등 일반적 사항의 절차를 규정한다.
2. 자재
먼지털이기의 자재는 STS(스텐레스). 방부목. 렉산. 기타 자재를 사용한다.
외부 자재는 STS 1.2T 이상의 자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내부에 보강 작업을 한다.
그레이팅은 스텐 그레이팅 또는 디자인 그레이팅을 사용하며 분체도장을 필히 하여야 한다.
지붕 프레임 자재는 STS PIPE에 분체 도장을 하고 렉산 폴리 카보네이트 3.0m/m 또는
금속판 1.2m/m 사용을 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칼라. 투명. 반투명을 사용한다.
3. 마감재
표면은 분체 엠보싱 지정칼라로 마감하고 스텐 그레이팅은 제작 후 분체로 마감한다.
디자인 스텐 그레이팅은 분체로 마감한다.
지붕재는 렉산 엠보싱 3m/m. STS 1.2T 이상 자재를 사용한다.
모든 용접은 알곤 용접으로 작업한다.
4. 전원
220v 60Hz 전원을 사용하며 누전 차단기를 분전반에 필히 설치하여야 하고 제품 내부에도 설치하여야 한다.
고속팬을 이용하는 기기는 220v 60Hz 전원을 사용하고 필히 접지를 하여야 한다.
5. 베이스
제품 설치를 위하여 바닥에 앙카볼트를 박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 베이스가 있어야 한다.
베이스 공사 시 전원 공사를 도면에 의거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베이스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앙카 고정용 매립 콘크리트를 하여야 한다.
6. 그레이팅
디자인 그레이팅은 로고. 문구 등을 새길 수 있고, 두께가 3m/m 이상 자재를 사용한다.
7. 에어건
타인의 눈. 귀. 얼굴에 가까이 사용하면 안 되며, 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어린이 사용 시 주의하여야 하며 안전 교육 후 사용하여야 한다.
에어건을 사용 용도에 따라 노즐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에어건은 에어량 조절밸브가 있어야 하며, 에어건은 최소 간격 600m/m이상이어야 한다.
에어량 조절밸브는 안전을 위하여 필히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8. 통풍구. 흡음시설
제품에 공기 흡입.토출할 수 있는 통풍구가 있어야 한다.
외부복사열을 방지하고 소음을 방지하는 흡음재를 25m/m 부착한다.
9. 사용시간 제한 시스템
매일 일정한 시간만 사용할 수 있는 24Timer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0. 점검구 및 잠금장치
A/S 및 점검을 위하여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한다.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검구에 key 장치가 있어야 한다.
11. 배출구
이물질 배출구는 후면으로 배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품 주변. 내부 공간에 이물질 및 낙엽은 점검 시마다 청소하여야 한다.
12. 전기 인입공사
인입전원은 220v 60Hz를 사용한다.
전선관을 사용하고 지면에서 300m/m 이상 높이에 콘트롤 제어함을 설치하여야 한다.
13. 제품 사용방법
안전 사용을 위하여 사용방법을 전면부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하여야 한다.
A/S에 필요한 방법 및 관리 방법은 제품 내부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한다.
14. A/S용 부품
긴급 A/S에 필요한 공구. 부속품을 납품 시 내부 부품 보관함에 비치하여야 한다.
점검 시에는 취급 설명서를 꼭 읽어보고 안전수칙에 의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15. 설치장소
진동. 소음. 먼지. 지하. GAS. 인화물질이 있는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
수평한 곳에 설치하여야 하며, 침수되지 않는 안전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16. 설치방법
콘크리트 바닥에 12m/m 앙카로 고정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바닥이 없는 장소는 앙카부분에만 매립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립하고 설치한다.
17. 시설물 관리방법
설명서를 읽고 안전수칙에 의거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월 1~2회 정도 점검구를 열어서 먼지. 이물질 제거 및 청소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그레이팅에 먼지. 이물질을 수시로 관리. 청소하여야 한다.
18. 안전관리
먼지털이기 설치는 일반적인 안전관리 수칙을 적용한다.
작업 전 안전교육. 안전보호장구. 전기. 인명 안전조치를 한 후 작업한다.
중장비 작업 중에는 특별히 안전사고에 대비한 안전수칙에 의거하여 작업하여야 한다.
- 06
단기간 벤치사용을 원하실 경우 판매가의 운임 설치비는 포함된 50-70%가격으로 임대함 홈페이지 칼라를 기본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색상 변경 가능함 (서울 근교 이외는 운임비 추가) *단 매립형과 일반 AB-100번대의 일반벤치 제외 그외 사항은 전화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 07
- 08
일반목재벤치와 에이스퍼블릭아트 금속조형물벤치의 차이점에 관한 한글파일입니다. 다운받아서 보시길 바랍니다.
다운로드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전문작가. 전문디자이너가 조형물을 디자인하고 전문가가 조형물 제작하여
조형물 일부분에 의자 (벤치) 기능을 다양하게 넣어서 제작한 작품입니다.
- 57
- 58
스텐레스. 기타금속. 스틸. 석재. 목재. 렉산. 기타 자재를 작품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합니다.
- 59
작품에 따라 부위에 따라 도색. 광택. 석재. 목재. 기타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도면에 표기됩니다.
- 60
- 61
작품에 소재에 따라 달라집니다 - 원하는 색상으로 도색 하여 드립니다.
1) 스틸 : 프라이머 - 지정칼라도색 - 투명도색
2) 스텐레스 : 프라이머 - 지정칼라도색 - 투명도색
3) 표면에 따라 엠보씽 : 프라이머. - 함마톤 엠보씽 - 지정칼라도색- 투명도색
4) 액체 도색 : 프라이머 - 지정칼라 - 투명도색
5) 분체도색은 작품에 크기에 따라 액체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작품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 액체로만 가능함)
- 62
- 63
- 64
의자부분을 다양한 소재로 변경하여 제작 가능합니다.
다양한 디자인의 의자부분의 금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작품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의자부분의 디자인을 다르게 제작합니다.
의자부분 디자인을 변경제작하고자 하면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 제작 가능합니다.
의자 사용인원을 1인 ~ 다인원이 사용할수 있도록 변경 가능합니다.
(디자인상 불가능한 작품도 있습니다.)
- 65
- 66
1) 조명 및 열선.기타에 전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조명등 사용 시 - 조명등 소비전력에 2배로 하시면 됩니다.
3) 의자부분에 열선을 넣어서 겨울철에 자동으로 히팅(Heating)되게 할 수 있습니다.
4) 전기 배관시 바닥 마감에서 300m/m 높이로 배관하고 메인분전반에 누전 차단기 및 접지를 필히 하여야 합니다.
- 67
현장 여건에 따라 크기를 확대/축소 제작 가능합니다
(디자인 여건상 확대/축소가 불가능한 작품도 있을 수 있습니다)
- 68
- 69
- 70
1) 앙카볼트 시공방법 - 당사에서 제공한 앙카볼트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2) 매립형 시공방법 - 터파기를 한 후 작품을 설치 위치에 놓고 수평을 잡은 후 콘크리트 타설하면 됩니다.
3) 잔디밭 시공방법 - 당사에서 제공한 매립형 앙카셋트 수평을 잡고 매립한 후 조립 하시면 됩니다.
4) 블록에 시공방법 - 작품의 밑부분에 블록을 제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앙카볼트로 시공하시면 됩니다.
5) 작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지게차. 크레인을 사용하여 이동 설치하여야 합니다.
6) 시공은 누구나 쉽게 설치 할 수 있도록 제작하며 앙카볼트는 12m/m 로 제작되며 별도의 규격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7) 작품을 필요 시 언제든지 이동설치할 수 있습니다.
- 71
당사에 전문 시공팀이 있습니다. (바닥 베이스 공사 제외)
작품은 쉽게 시공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납품 됩니다.
- 72
벤치 설치을 위한 바닥 베이스는 설계. 구매 견적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베이스 재질. 크기 현장 여건상 변경 가능하십시오)
- 73
햇빛, 빗물을 피할 수 있는 캐노피의 재질은 투명.불투명의 렉산 및 다양한 자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도면에 표기됩니다.
- 74
작품에 따라 조명. 전기. 기타 기능을 위하여 점검구를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 75
디자인설계를 의뢰하시면 당사 디자인팀에서 디자인하여 드립니다.
별도디자인하여 주문생산 가능하며, 1개의 작품도 최선을 다하여 제작합니다.
- 76
거래가격가 업로드되어 있으며 설계가격이 등재되어 있습니다. (색인란 : 조형벤치)
- 77
e-mail 또는 전화 주시면 설계견적. 구매견적 견적자료 보내드립니다.
- 78
디자인등록이 되어 있어서 작품을 모방하면 법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79
1. 일반 사항
본 시방서는 조형벤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제작. 설치방법. 사후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절차를 규정한다.
2. 자재
조형벤치의 자재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 석재 .렉산. 유리 기타 자재를 사용한다.
3. 용접 작업
스텐 금속 용접 시에는 알곤용접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스틸 금속 작업 시에는 CO2 또는 전기. 알곤용접으로 자재의 두께 성질. 상황에 따라 용접을 하여야 한다.
레이저 및 금속 가공 후 작품을 용접 제작하고 안전을 위하여 연마작업을 철저히 하여
날카로운 면이 없도록 연마하여야 한다.
4. 도색 작업
금속자재를 사용 시에는 표면에 프라이머 작업을 한 후 함마톤. 또는 우레탄. 분체. 액체 기타 도색을 하여야 한다.
표면을 엠보싱(함마톤)처리을 하여야 하고 2차로 필요한 칼라로 도색 하여야 하며 분체 또는 액체로
도색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투명으로 코팅하여야 한다.
작품에 따라 도색을 유광. 무광 선택하여 마감 처리한다.
목재를 사용 시에는 방부목을 원칙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고 표면에 투명으로 마감 처리 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을 제품에 일부 부속품으로 사용 시에는 제품 원자재 컬러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작품의 디자인에 따라 필요한 컬러로 도색한다.
5. 의자부분
스텐레스 금속으로 사용 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지정색 도색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경우 있을 수 있다.
스텐레스 금속 사용 시 필요에 따라 표면을 광택 처리 할 수도 있다.
스틸로 사용 시에는 지정색 도색을 하여야 하며 전처리 프라이머를 필히 하고 컬러 도색을 하여야 한다.
목재를 사용 시에는 방부목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플라스틱 종류 사용 시에는 도색을 하지 않는다.
의자부분 부속품에 내부가 안쪽으로 약간 들어간 디자인에는 배수 드레인 타공을 하여야 한다.
벤치의 의자부분을 회전으로 디자인 된 작품은 필요에 따라 베어링 또는 회전 장치를 내장하여야 한다.
6. 벤치의 회전 부분
벤치 사용 시 여름철에는 태양빛에 의하여 사용할 수 없어서 벤치를 태양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할 수도 있다.
조형 벤치 사용자가 벤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조형 벤치에 중앙에 조형물을 제작하고 앞. 뒷부분에 의자부분(앉는 부분) 부착하여 약간의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빛을 차단하고 주변 환경을 감상할 수 있고 필요에 따
라 주변의 시선을 피하여 조형 벤치를 사용할 수 있다.
7. 포토존 부분
디자인에 따라 사진촬영을 할 수 있도록 작품의 크기가 사용자가 사용시 편리한 높이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작품 및 주변 환경에 조화되어 크기가 적절하여야 한다.
8. 기타 자재
렉산 폴리카보네이트 사용 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투명 또는 지정컬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유리. 아크릴 자재 사용 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칼라. 애칭. 등을 할 수도 있다.
기타 자재 사용 시에는 디자인 및 자재의 특성에 맞게 제작하여야 한다.
9. 베이스
설치를 위한 베이스는 200-300m/m 이상 콘크리트로 두께로 시공하여야 하며
내부에 와이어 매쉬를 넣어서 시공한다.
표면은 안전을 위하여 매끄럽지 않게 하며 베이스 공사 4-5일 후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난 뒤
조형벤치를 시공하여야 한다.
바닥 마감재는 디자인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자재를 이용
하여 시공할 수 있다.
10. 전기 및 안전장치
조명 및 기타 시설을 내장할 경우에는 작품 내부 바닥에 전기를 220V 60Hz 인입하여야 한다.
물에 대한 침수를 대비하여 바닥면에서 300m/m 높이로 전선관 및 메인 분전반에 누전차단기를 필히 설치하여야
하고 접지. 기타 안전 장치를 하여야 한다.
11. 기타
작품 내부에 필요한 부분을 보강하여 작품을 튼튼하게 제작하여야 한다.
조형 벤치가 금속으로 제작되어 여름철에는 태양열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므로 작품에 통풍구를 만들어야 한다.
여름철 의자부분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과 관련하여 작품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목재. 석재. 합성플라스틱을
사용 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하여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도록 다자인 설계에 반영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작품의 A/S가 쉽게 되도록 제작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12. 설치방법
콘크리트 양생이 잘 되었는지 확인한다.
작품의 수평을 맞게 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작품을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놓고 수평을 확인하여 작품에 앙카 구멍을 확인하고 드릴로 앙카구멍을 낸 후
앙카볼트를 필요한 수량만큼 시공하며 필요 시 보호 지지대를 임시로 설치 할 수 있다.
앙카볼트가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절단하고 캡너트로 마감하여야 한다.
매립형 디자인 작품을 시공할 경우에는 작품을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놓고 좌.우 방향. 수평을 확인 후
매립하여야 하며 매립 시공한 후에는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갱생될 때까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매립형 디자인 작품은 매립시공이 완료되면 보호 필름을 제거하여야 한다.
도색된 작품은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거나 장마. 우천 시 필름 내부에 물이 들어간 후 장기간 방치 시
변색이 올 수 있으니 시공이 완료되고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갱생되면 보호 필름을 제거하여야 한다.
회전형 작품을 시공 할 경우에는 바닥 앙카 부분을 더욱 세심하게 수평을 맞추고 시공하여야 한다.
13. 시설물 관리 방법
사용 중에 의자 부분에 모래. 흙. 이물질 등을 수시로 제거해주어야 한다.
작품 표면은 중성세제 등을 이용하여 수시로 청소하고 마른 수건으로 닦아주어야 한다.
작품 청소를 주기적으로 자주 하여 먼지.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야 한다.
바닷가 지역에 설치된 작품은 자주 관리하여야 한다.
14. 안전관리
조형벤치 설치를 위하여 일반적인 안전 수칙을 적용한다.
설치 작업 전에 감독관의 안전교육 실시하여야 한다.
설치 작업자의 안전보호 장구 착용상태 확인한다.
작업자는 화기.인화물질. 전기. 인명안전을 위한 조치를 한 후 작업을 하여야 한다.
중장비 작업 중에는 특별히 주변 안전사고에 대비한 후 안전 수칙에 의거하여 작업을 하여야 한다.
15. 검사
시공이 끝난 후에는 현장 주변을 정리 정돈하여야 하며 폐자재는 즉시 반출하여야 한다.
작품 설치 시 공사 전. 공사 중. 공사 후 사진을 촬영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본 공사기간은 착공일로부터 일로 한다.
- 80
1. 일반 사항
본 시방서는 흙먼지털이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제작. 설치방법. 사후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절차를 규정한다.
2. 자재
흙 먼지털이기의 자재는 STS(스텐레스) . 방부목. 렉산. 기타 자재를 사용한다.
외부 자재는 STS 1.2t 이상의 자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내부에 보강 작업을 한다.
그레이팅은 스틸 그레이팅 또는 디자인 그레이팅을 사용하며 분체도장을 필히 하여야 한다.
지붕 프레임 자재는 STS PIPE에 분체 도장을 하고 렉산 폴리 카보네이트 3.0m/m
또는 금속판1.2m/m 사용을 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컬러. 투명. 반투명을 사용한다.
3. 마감재
표면은 분체 엠보싱 지정컬러로 마감 하고 스틸 그레이팅은 제작 후 분체로 마감한다.
디자인 스틸 그레이팅은 하도를 처리하고 분체로 마감한다.
지붕재는 렉산 엠보싱 3m/m. STS 1.2T 이상 자재를 사용한다.
모든 용접은 알곤용접으로 작업한다.
4. 공기 압축기 및 전원
200-380V 60Hz전원을 사용 하며 현장 여건에 따라 사용한다.
콤프레셔 및 탱크 용량은 사용 인원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고속 팬을 이용하는 기기는 220V 60Hz 전원을 사용한다.
5. 베이스
제품 설치를 위하여 바닥에 앙카볼트를 박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 베이스가 있어야 한다.
베이스 공사 시 전원 공사를 도면에 의거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베이스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앙카 고정용 매립 콘크리트를 하여야 한다.
6. 그레이팅
스틸 그레이팅은 32m/m 이상. 도금자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편리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디자인 그레이팅은 로고. 문구 등을 새길 수 있고 두께가 7-10m/m 이상 자재를 사용한다.
그레이팅은 분실방지 시설 및 오염방지 코팅을 하여야 한다.
7. 에어건
타인의 눈. 귀. 얼굴에 가까이 사용하면 안 되며 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어린이 사용 시 주의하여야 하며 보호자가 있어야 한다.
안전을 위하여 노즐 분사구가 많은 것 또는 구경이 큰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에어건을 사용 용도에 따라 노즐을 변경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에어건은 에어량 조절밸브가 있어야 하며 에어건은 최소 간격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에어량 조절 밸브는 안전을 위하여 필히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자전거 공기 주입기를 별도로 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8. 통풍구. 냉각팬
제품에 공기 흡입. 토출할 수 있는 통풍구가 있어야 한다.
공기를 배출 할 수 있는 냉각팬 및 외부복사열을 방지하는 흡음재를 부착한다.
온도 센서에 의하여 지정된 온도 이상일 때만 팬이 작동되고 24Timer가 연동되어
사용시간을 제어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어야 한다.
9. 응축수 배출 시스템
겨울철 사용을 위하여 탱크 하부에 동파. 동결 방지 오토 드레인 장치를 설치한다.
매일 탱크 내부에 응축수를 배수하는 장치를 자동 및 수동 겸용을 설치하여야 한다.
10. 사용시간 제한 시스템
매일 일정한 시간만 사용할수 있는 24Timer를 설치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정전을 대비하여 정전보상 타이머를 사용하여야 한다.
11. 방음. 방진
콤프레셔 사용으로 인한 소음. 진동을 막기 위하여 내부에 흡음 및 방진고무을 설치하여야 한다.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내부 공간 측면. 천정에 계란형 흡음재를 부착하여야 한다.
주택. 학교 등은 제품 외부에 별도로 방음차단 시설을 할 수도 있다.
12. 점검구 및 잠금장치
A/S 및 점검을 위하여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한다.
콤프레셔. 기타장비 분실을 방지 하기 위하여 점검구 잠금(key)장치가 있어야 한다.
13. 공기량 조절밸브
공기량 조절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14. 배출구
이물질 배출구는 후면으로 배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품 주변. 압축기 내부 공간에 이물질 및 낙엽은 점검 시마다 청소하여야 한다.
15. 전원
인입전원은 220V∼380V 60Hz을 사용한다.
전선관을 사용하고 지면에서 300m/m 이상 높이에 콘트롤 제어함를 설치하여야 한다.
분전반에 필히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제품은 접지를 하여야 한다.
16. 소화기
화재 시 자동으로 소화되는 소화기를 내장하여야 한다.
공기 압축기 보관box는 금속 재질로 제작하여 화재 시 번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소화기 보관함에는 주변에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는 분말 소화기 2.3kg를 내장하여야 한다.
소화기 문구를 표기하여야 한다.
17. 스마트폰 충전기
스마트폰 충전기시설을 내장하여 동시에 충전할 수 있어야 한다.
입력 전원은 220V 60Hz로 사용한다.
18. 청소도구 및 다용도 보관함
청소 도구(빗자루. 쓰레받기)를 보관하고 기타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보관함을
공기 압축기 보관함과 별도로 있어야 한다.
19. 응급장비(자동제세동기)
심장이 멈추었을 때 전기충격을 전달해 심장기능 회복을 도와주는 응급장비로
(선택사양)필요 시 제품 내부에 공간을 확보에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제품전면에 응급장비에 대한 문구를 표시하여야 한다.
20. 제품 사용방법
안전 사용을 위하여 사용 방법을 전면부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하여야 한다.
A/S에 필요한 방법 및 관리 방법은 제품 내부 잘보이는 곳에 부착한다.
21. A/S용 부품
긴급 A/S에 필요한 공구. 부속품을 납품 시 내부 부품 보관함에 비치하여야 한다.
점검 시에는 취급 설명서를 꼭 읽어보고 안전수칙에 의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콤프레셔 관리 방법. 기타 매뉴얼을 부품보관함에 비치한다.
22. 설치장소
진동. 소음. 먼지. 지하. 옥상. GAS. 인화물질이 있는 장소에 설치를 하지 말아야 한다.
수평인 곳에 설치하여야 하며 침수되지 않는 안전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23. 설치방법
콘크리트 바닥에 12m/m 앙카로 고정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바닥이 없는 장소는 앙카부분에만 매립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립하고 설치한다.
24. 시설물 관리방법
압축기 및 기타 설명서를 읽고 안전수칙에 의거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월 1∼2회정도 점검구를 열어서 먼지. 이물질 제거 및 청소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2개월에 1회정도 엔진오일 유량계를 확인하여 적정선까지 보충하여야 하며 1회
보충 시 깔때기를 이용하여 약 100ml정도를 적정선까지 보충한다.
드레인 밸브를 수동으로 열어서 물을 배출하고 자동으로 배출되는 지 확인하여야 한다.
냉각팬. 24Timer. 스마트폰 충전기.기타 장비가 작동되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그레이팅에 먼지. 이물질을 수시로 관리. 청소하여야 한다.
도난방지를 위하여 key 관리를 하여야 한다.
25. 안전관리
흙먼지털이기 설치는 일반적인 안전관리 수칙을 적용한다.
작업 전 안전교육. 안전보호장구. 전기. 인명 안전조치를 한 후에 작업한다.
중장비 작업 중에는 특별히 안전사고에 대비한 안전수칙에 의거하여 작업을 하여야 한다.
- 81
1. 일반 사항
본 시방서는 조형 조명을 설치함에 있어서 제작. 설치방법. 사후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절차를 규정한다.
2. 자재
조형벤치의 자재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 석재 .렉산. 유리 기타 자재를 사용한다.
3. 제조 및 가공
재료의 절단면 표면이 깨끗하게 슬리팅되어야 한다.
금속 재료는 정밀 모형절단하며 절곡, 적단, 밴딩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부품별 결합부는 정밀 가공하여 조립 전,후 변형이 없어야 한다.
용접이 필요한 부분은 견고하게 용접하여 연마하여야 한다.
스텐, 금속 용접 시에는 알곤용접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스틸 금속 작업 시에는 CO2 또는 전기, 알곤용접으로 자재의 두께 성질, 상황에 따라 용접을 하여야 한다.
파이프 및 금속판을 레이져 가공 후 자재를 용접 제작하고 안전을 위하여 연마작업을 철저히 하여야 하고
날카로운 면이 없도록 연마해야 한다.
4. 도색 작업
금속자재를 사용 시에는 표면에 프라이머 작업을 한 후 함마톤. 또는 우레탄. 분체. 액체 기타 도색을 하여야 한다.
표면을 엠보싱(함마톤)처리을 하여야 하고 2차로 필요한 컬러로 도색하여야 하며 분체 또는 액체로
도색하여야 하며 감전, 퇴색, 백화 방지를 위한 절연성 투명코팅을 하여야 한다.
작품에 따라 도색을 유광. 무광 선택하여 마감 처리한다.
목재 사용 시에는 방부목을 원칙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고 표면에 투명으로 마감 처리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을 제품에 일부 부속품으로 사용 시 제품 원자재 컬러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작품의 디자인에 따라 필요한 컬러로 도색한다.
5. 조명 부분
스텐레스 금속으로 사용 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지정색 도색 또는 광택처리를 할 수 있다.
스틸 사용 시에는 지정색 도색을 필히 하여야 하며 전처리 프라이머를 필히 하고 분체, 함마톤 도색을 하여야 한다.
반사경을 사용할 경우에는 스텐레스, A.B.S수지, 크롬도금 반사경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컬러 도색을 할 수도 있다.
조명기구의 램프는 승인도면에 명기도니 램프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안정기는 향후 빠른 유지보수를 위하여 국산 제품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램프 기타 부품과의
상호 작용에 문제가 없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6. 조형 부분
제품 제작은 상세 사항을 명시한 제작 승인 도면에 의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조형 공원등은 주간에는 조형물로 주변 경간을 미려하게 하고 야간에는 주변 조명등으로 사용하게 제작한다.
디자인에 따라 벤치, 포토존, 음수기, 핸드폰 충전기능, 안내판, 방향표시, 해충포집기를 추가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7. 포토존 부분
디자인에 따라 사진촬영할 수 있도록 작품의 크기가 사용자가 사용 시 편리한 높이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포토존 기능을 디자인에 따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벤치기능 겸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작품 및 주변 환경에 조화되어 크기가 적절하여야 한다.
8. 기타 자재
렉산 폴리카보네이트 사용 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투명 또는 지정컬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유리. 아크릴 자재 사용 시에는 디자인에 따라 컬러. 애칭. 등을 할 수도 있다.
기타 자재 사용 시에는 디자인 및 자재의 특성에 맞게 제작하여야 한다.
9. 베이스
설치를 위한 베이스는 400-500m/m 이상 콘크리트 두께로 시공하여야 하며 내부에 L형 앙카세트를 넣어서 시공한다.
앙카 볼트는 17-22m/m 제품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제품의 크기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바닥 베이스 작업을 하여야 하며, 이 때 필히 와이어 메쉬를 넣어서 타설하고
타설의 두께는 300-400mm이상 되어야 한다.
바닥 마감재는 디자인 및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자재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10. 전기 및 안전장치
조명 및 기타 시설은 제품 내부 바닥 중앙에 전선관을 필히 내장하여야 한다.
침수를 대비하여 500m/m높이에 점검구를 설치하고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접지, 기타 안전 장치를 하여야 한다.
제품에 따라 안정기를 내부에 설치하여야 한다.
등주내에 안전기 및 기타 배선기구등을 부착 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여야 한다.
SENSOR등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근접하면 ON되고 사용자가 떠나면 약 20초 이후에 OFF 되어야 한다.
물의 침투에 대한 보호각도는 60°이며 해당 각도에서 내리는 비가 내부에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1. 기타
작품 내부에 필요한 부분을 보강하여 작품을 튼튼하게 제작하여야 한다.
안전을 위하여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도록 다자인 설계에 반영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작품의 A/S가 쉽게 되도록 제작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12. 설치방법
모든 등기구는 전구의 교체등 유지 관리가 쉽고 등기구 교체가 용이하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등기구는 자중의 3배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고 부착면이 진동. 충격에도 추락할 염려가 없어야 한다.
안전을 위하여 제품의 설치 주변에 안전 요원 또는 안전라인을 확보하고 시공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한 경우에는 수평을 확인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제품을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놓고 수평을 확인하여 제품에 앙카 구멍을 확인하고 드릴로 앙카구멍을 낸 후
앙카볼트를 필요한 수량만큼 시공하며 필요 시 보호 지지대를 임시로 설치할 수 있다.
앙카볼트가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절단하고 캡너트로 마감하여야 한다.
매립형 디자인 작품을 시공할 경우에는 작품을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놓고 좌,우 방향. 수평을 확인한 후에
매립하여야 하며 매립 시공한 후에는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갱생될 때까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잔디 위 시공 시에는 터파기를 한 후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립하고 되메우기를 하고 앙카구멍을 낸 후에 설치한다.
제품 설치 시에 안전을 위하여 접지를 필히 연결하여야 한다.
13. 시설물 관리 방법
사용 중에 의자 부분에 모래. 흙. 이물질 등을 수시로 제거해주어야 한다.
작품 표면은 중성세제 등을 이용하여 수시로 청소하고 마른 수건으로 닦아주어야 한다.
작품 청소를 주기적으로 자주 하여 먼지.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야 한다.
14. 안전관리
조형 공원등 설치를 위하여 일반적인 안전 수칙을 적용한다.
설치 작업 전에 감독관의 안전교육 실시하여야 한다.
설치 작업자의 안전보호 장구 착용상태 확인한다.
작업자는 화기.인화물질. 전기. 인명안전을 위한 조치를 한 후 작업을 하여야 한다.
중장비 작업 중에는 특별히 주변 안전사고에 대비한 후 안전 수칙에 의거하여 작업하여야한다.
15. 스티커부착방지
스티카부착 방지을 위하여 표면을 엠보싱으로 분체 도장하고 지정색을 도색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절연성 투명코팅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16. 제작자 자격
본 조형공원등 제작 납품자는 금속가공 전문업체로 디자인 연구소. 품질 ISO 9001. 환경 ISO 14001 인증업체
INN0-BIZ 로서 작품 제작은 금속 제작시설. 도장시설을 보유한 전문조형 공원등 업체에서 제작하여야 한다.
17. 하자보증기간
본 제품의 하자보증기간은 1년으로 한다.
18. 운반
제작 완료 후 운반은 제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포장하고 상차. 운반. 하차 시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19. 검사
시공이 끝난 후에는 현장 주변을 정리 정돈하여야 하며 폐자재는 즉시 반출하여야한다.
작품 설치 시 공사 전. 공사 중. 공사 후 사진 촬영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본 공사기간은 착공일로부터 일로 한다.
- 01
전문작가. 전문디자이너가 조형물을 디자인하고 전문가가 조형물 제작하여
조형물 일부분에 의자 (벤치) 기능을 다양하게 넣어서 제작한 작품입니다.
- 02
스텐레스. 기타금속. 스틸. 석재. 목재. 렉산. 기타 자재를 작품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합니다.
- 03
작품에 따라 부위에 따라 도색. 광택. 석재. 목재. 기타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도면에 표기됩니다.
- 04
작품에 소재에 따라 달라집니다 - 원하는 색상으로 도색 하여 드립니다.
1) 스틸 : 프라이머 - 지정칼라도색 - 투명도색
2) 스텐레스 : 프라이머 - 지정칼라도색 - 투명도색
3) 표면에 따라 엠보씽 : 프라이머. - 함마톤 엠보씽 - 지정칼라도색- 투명도색
4) 액체 도색 : 프라이머 - 지정칼라 - 투명도색
5) 분체도색은 작품에 크기에 따라 액체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작품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 액체로만 가능함)
- 05
의자부분을 다양한 소재로 변경하여 제작 가능합니다.
다양한 디자인의 의자부분의 금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작품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의자부분의 디자인을 다르게 제작합니다.
의자부분 디자인을 변경제작하고자 하면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 제작 가능합니다.
의자 사용인원을 1인 ~ 다인원이 사용할수 있도록 변경 가능합니다.
(디자인상 불가능한 작품도 있습니다.)
- 06
1) 조명 및 열선.기타에 전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조명등 사용 시 - 조명등 소비전력에 2배로 하시면 됩니다.
3) 의자부분에 열선을 넣어서 겨울철에 자동으로 히팅(Heating)되게 할 수 있습니다.
4) 전기 배관시 바닥 마감에서 300m/m 높이로 배관하고 메인분전반에 누전 차단기 및 접지를 필히 하여야 합니다.
- 07
현장 여건에 따라 크기를 확대/축소 제작 가능합니다
(디자인 여건상 확대/축소가 불가능한 작품도 있을 수 있습니다)
- 08
1) 앙카볼트 시공방법 - 당사에서 제공한 앙카볼트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2) 매립형 시공방법 - 터파기를 한 후 작품을 설치 위치에 놓고 수평을 잡은 후 콘크리트 타설하면 됩니다.
3) 잔디밭 시공방법 - 당사에서 제공한 매립형 앙카셋트 수평을 잡고 매립한 후 조립 하시면 됩니다.
4) 블록에 시공방법 - 작품의 밑부분에 블록을 제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앙카볼트로 시공하시면 됩니다.
5) 작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지게차. 크레인을 사용하여 이동 설치하여야 합니다.
6) 시공은 누구나 쉽게 설치 할 수 있도록 제작하며 앙카볼트는 12m/m 로 제작되며 별도의 규격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7) 작품을 필요 시 언제든지 이동설치할 수 있습니다.
- 09
당사에 전문 시공팀이 있습니다. (바닥 베이스 공사 제외)
작품은 쉽게 시공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납품 됩니다.
- 10
벤치 설치을 위한 바닥 베이스는 설계. 구매 견적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베이스 재질. 크기 현장 여건상 변경 가능하십시오)
- 11
햇빛, 빗물을 피할 수 있는 캐노피의 재질은 투명.불투명의 렉산 및 다양한 자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도면에 표기됩니다.
- 12
작품에 따라 조명. 전기. 기타 기능을 위하여 점검구를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 13
디자인설계를 의뢰하시면 당사 디자인팀에서 디자인하여 드립니다.
별도디자인하여 주문생산 가능하며, 1개의 작품도 최선을 다하여 제작합니다.
- 14
거래가격가 업로드되어 있으며 설계가격이 등재되어 있습니다. (색인란 : 조형벤치)
- 15
e-mail 또는 전화 주시면 설계견적. 구매견적 견적자료 보내드립니다.
- 16
디자인등록이 되어 있어서 작품을 모방하면 법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